자바 직렬화: readResolve와 writeReplace

자바 직렬화에 사용되는 readResolve 메서드와 writeReplace 메서드의 역할은 무엇일까?


진짜 싱글톤일까?

클래스의 객체 개수(보통 1개)를 제어하는 방법을 싱글톤 패턴이라고 한다. 객체가 여러 개 생성될 필요가 없을 때 하나만 생성하여 사용할 때마다 같은 객체를 참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싱글톤 패턴이 적용된 클래스를 살펴보자.

/**
 * @author madplay
 */
public final class MySingleton {
	private static final MySingleton INSTANCE = new MySingleton();

	private MySingleton() {
	}

	public static My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

하지만 싱글톤 클래스는 직렬화 가능한 클래스가 되기 위해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implements) 하는 순간, 싱글톤 클래스가 아닌 상태가 된다. 직렬화를 통해 초기화해둔 인스턴스가 아닌 다른 인스턴스가 반환되기 때문이다.

아래와 같이 직렬화 가능 클래스로 만들고 직렬화/역직렬화를 해보자. 직렬화 과정에서도 같은 인스턴스가 사용되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import java.io.Serializable;

/**
 * @author madplay
 */
public final class MySingleton implements Serializable { // Serializable
	private static final MySingleton INSTANCE = new MySingleton();

	private MySingleton() {
	}

	public static My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

싱글턴 클래스를 직렬화 가능한 클래스로 만들었다. 이제 직렬화/역직렬화를 테스트할 수 있는 코드를 만들어서 확인해보자.

import java.io.ByteArrayInputStream;
import java.io.ByteArrayOutputStream;
import java.io.ObjectInputStream;
import java.io.ObjectOutputStream;

/**
 * @author madplay
 */
public class SerializationTester {

	public byte[] serialize(Object instance) {
		ByteArrayOutputStream bos = new ByteArrayOutputStream();
		try (bos; ObjectOutputStream oos = new ObjectOutputStream(bos)) {
			oos.writeObject(instance);
		} catch (Exception e) {
			// ... 구현 생략
		}
		return bos.toByteArray();
	}

	public Object deserialize(byte[] serializedData) {
		ByteArrayInputStream bis = new ByteArrayInputStream(serializedData);
		try (bis; ObjectInputStream ois = new ObjectInputStream(bis)) {
			return ois.readObject();
		} catch (Exception e) {
			// ... 구현 생략
		}
		return nul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ingleton instance = MySingleton.getINSTANCE();
		SerializationTester serializationTester = new SerializationTester();
		byte[] serializedData = serializationTester.serialize(instance);
		MySingleton result = (MySingleton)serializationTester.deserialize(serializedData);
		System.out.println("instance == result : " + (instance == result));
		System.out.println("instance.equals(result) : " + (instance.equals(result)));
	}
}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싱글턴 클래스라면 매번 같은 인스턴스가 반환되기 때문에 ==연산자와 equals 메서드로 비교한 결과가 항상 true 여야 한다. 하지만 출력된 결과와 같이 결과가 false다. 그러니까 서로 다른 인스턴스다.

instance == result : false
instance.equals(result) : false

참고로 hashCode로 비교하는 경우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서로 다른 객체임에도 해시 코드 값이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 hypoplanktonunheavenlyhashCode() 값을 출력해보면 같은 해시 코드 값이 반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때 readResolve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 이 메서드를 직접 정의하여 역직렬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인스턴스 대신에 기존에 생성된 싱글톤 인스턴스를 반환하도록 하면 된다.

만일 역직렬화 과정에서 자동으로 호출되는 readObject 메서드가 있더라도 readResolve 메서드에서 반환한 인스턴스로 대체된다. readObject 메서드를 통해 만들어진 인스턴스는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된다.

import java.io.Serializable;

/**
 * @author madplay
 */
public final class MySingleton implements Serializable {
	private static final MySingleton INSTANCE = new MySingleton();

	private MySingleton() {
	}

	public static My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 readResolve 메서드를 정의한다.
	private Object readResolve() {
        // 싱글턴을 보장하기 위함!
		return INSTANCE;
	}
}

readResolve 메서드를 추가한 뒤에 다시 실행해보자. 아래와 같이 == 연산자와 equals 메서드로 비교한 결과가 true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stance == result : true
instance.equals(result) : true


writeReplace

readResolve 메서드와 같이 등장하는 것이 writeReplace 메서드이다. 자바 직렬화에서 다시 객체의 형태로 만드는 역직렬화 과정에서 사용하는 것이 readResolve라면 직렬화 과정에서는 writeReplace 메서드가 사용된다.

객체를 스트림에 작성할 때, 그러니까 직렬화 할때 원래 객체가 아닌 다른 객체를 직렬화 시키도록 할 수 있다. 아래 예제 코드를 통해 살펴보자.

import java.io.Serializable;

/**
 * @author madplay
 */
public class Gender implements Serializable {
	public final static Gender MALE = new Gender(Detail.DETAIL_MALE);
	public final static Gender FEMALE = new Gender(Detail.DETAIL_FEMALE);

	private Detail detail;

	private Gender(Detail detail) {
		this.detail = detail;
	}

    // 직렬화 과정에서 호출된다.
	private Object writeReplace() {
		if (this.equals(MALE)) {
			return Detail.DETAIL_MALE;
		} else {
			return Detail.DETAIL_FEMALE;
		}
	}

	private static class Detail implements Serializable {
		final static Detail DETAIL_MALE = new Detail(0);
		final static Detail DETAIL_FEMALE = new Detail(1);

		private int value;

		private Detail(int value) {
			this.value = value;
		}

        // 역직렬화 과정에서 호출된다.
		private Object readResolve() {
			if (value == DETAIL_MALE.value) {
				return Gender.MALE;
			} else {
				return Gender.FEMALE;
			}
		}
	}
}

앞서 살펴본 직렬화/역직렬화 테스트 코드를 재사용해 테스트 해보자.

import java.io.ByteArrayInputStream;
import java.io.ByteArrayOutputStream;
import java.io.ObjectInputStream;
import java.io.ObjectOutputStream;

/**
 * @author madplay
 */
public class SerializationTester {

	// serialize, deserialize 메서드는 앞의 예제와 동일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ender male = Gender.MALE;
		SerializationTester serializationTester = new SerializationTester();
		byte[] serializedData = serializationTester.serialize(male);
		Gender result = (Gender)serializationTester.deserialize(serializedData);
		System.out.println("male == result : " + (male == result));
		System.out.println("male.equals(result) : " + (male.equals(result)));
	}
}

출력 결과는 true가 반환된다. 사실 같은 객체라는 것보다는 writeReplace 메서드를 통해 다른 객체를 직렬화 시키는 것이 포인트다. 디버깅해보면 알 수 있지만, 직렬화 과정에서 writeReplace 메서드가 호출되고 메서드에 정의된 내용처럼 직렬화할 원래의 Gender 타입의 객체 대신에 Detail 타입의 객체가 대신 반환된다.


댓글을 남기시려면 Github 로그인을 해주세요 :D


Hi, there!

Thanks for visiting my blog.
Please let me know if there are any mistakes in my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