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펙티브 자바 3판] 6장. 열거 타입과 애너테이션

[Effective Java 3th Edition] Chapter6: Enums and Annotations


목차


아이템 34. int 상수 대신 열거 타입을 사용하라

Use enums instead of int constants

enum 타입이 등장하기 전에는 정수 열거 패턴(int enum pattern)을 사용했었다.

public static final int APPLE_FUJI = 0;
public static final int APPLE_PIPPIN = 1;

public static final int ORANGE_NEVEL = 0;
public static final int ORANGE_TEMPLE = 1;

단점이 많다. 타입에 안전하지 않으며 코드도 계속 길어지게 된다. 오렌지를 건네야 하는 메서드에 사과를 보낸 후 동등 연산자 ==로 비교해도 어떠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는다.

열거 타입은 확실히 정수 상수보다 뛰어나다.



아이템 35. ordinal 메서드 대신 인스턴스 필드를 사용하라

Use instance fields instead of ordinals

해당 상수가 열거 타입에서 몇 번째인지 반환하는 ordinal 메서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장 첫 번째 상수는 0을 반환한다. 열거 타입 상수와 연결된 정숫값이 필요한 경우 ordinal 메서드를 이용하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 있는데, 위험한 선택일 수 있다. 아래 코드를 통해 확인해보자. 합주단의 종류를 연주자가 1명인 솔로(solo)부터 10명인 디텍트(detect)까지 정의한 enum이다.

public enum Ensemble {
    SOLO, DUET, TRIO, QUARTET, QUINTET,
    SEXTET, SEPTET, OCTET, NONET, DECTET;

    public int numberOfMusicians() { return ordinal() + 1; }   
}

상수의 선언을 바꾸는 순간 바로 오동작을 할 수 있으며, 이미 사용 중인 정수와 값이 같은 상수는 추가할 수도 없다. 해결책은 간단하다. 열거 타입 상수에 연결된 값은 ordinal 메서드로 얻지 말고, 인스턴스 필드에 저장해서 사용하면 된다.

public enum Ensemble {
    SOLO(1), DUET(2), TRIO(3), QUARTET(4), QUINTET(5),
    SEXTET(6), SEPTET(7), OCTET(8), NONET(9), DECTET(10),
    DOUBLE_QUARTET(8), TRIPLE_QUARTET(12);

    private final int int numberOfMusicians;
    Ensemble(int size) { this.numberOfMusicians = size; }
    public int numberOfMusicians() { return numberOfMusicians; }
}
열거 타입 상수에 연결된 값은 인스턴스 필드에 저장하자.



아이템 36. 비트 필드 대신 EnumSet을 사용하라

Use EnumSet instead of bit fields

과거에는 아래와 같이 정수 열거 패턴을 비트 필드 표현에 사용했다.

public class Text {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BOLD          = 1 << 0;  // 1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ITALIC        = 1 << 1;  // 2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UNDERLINE     = 1 << 2;  // 4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STRIKETHROUGH = 1 << 3; // 8

    // 매개변수 styles는 0개 이상의 STYLE_ 상수를 비트별 OR한 값이다.
    public void applyStyles(int styles) { ... }
}

다음과 같이 비트별 OR를 이용하여 여러 상수를 하나의 집합으로 모을 수 있었는데 이를 비트 필드(bit field)라고 한다.

// Text.STYLE_BOLD | Text.STYLE_ITALIC ===> 결과값은 3
text.applyStyles(STYLE_BOLD | STYLE_ITALIC);

비트별 연산을 이용해 합집합과 교집합 같은 집합 연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나, 정수 열거 상수의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해석하기가 더 어렵다. 또한 비트 필드에 포함된 모든 의미상의 원소를 순회하기도 까다롭고 최대 몇 비트가 필요한지 미리 예측한 후 타입을 선택해야 한다. 비트를 늘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편함은 EnumSet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타입 안전하고 다른 어떤 Set 구현체와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EnumSet의 내부는 비트 벡터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원소가 64개 이하라면, EnumSet 전체를 long 변수 하나로 표현한다. removeAllretainAll과 메서드는 비트 필드를 쓸 때와 동일하게 비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산술 연산을 사용하여 구현했다. 그러면서도 비트를 직접 다룰 때의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서 자유롭다.

public class Text {
    public enum Style { BOLD, ITALIC, INDERLINE, STRIKETHROUGH }

    // 깔끔하고 안전하다. 어떤 Set을 넘겨도 되나, EnumSet이 가장 좋다.
    // 보통 인터페이스를 전달 받는 것이 좋은 습관이다.
    public void applyStyles(Set<Style> styles) { ... }
}

EnumSet의 유일한 단점은 불변 EnumSet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자바 11버전까지 추가가 안되었으나, 구글의 구아바(Guava) 라이브러리의 Collections.unmodifiableSet을 사용하면 불변 상태로 만들 수 있다.

// Guava 라이브러리 사용
Set immutableEnumSet = Collections.unmodifiableSet(EnumSet.of(Text.Style.BOLD, Text.Style.ITALIC));
immutableEnumSet.add(Text.Style.INDERLINE); // java.lang.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하지만 내부에서 EnumSet을 사용하여 구현했기 때문에 성능 면에서는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

비트 필드를 사용할 이유는 없다. EnumSet을 사용하자.



아이템 37. ordinal 인덱싱 대신 EnumMap을 사용하라

Use EnumMap instead of ordinal indexing

ordinal 메서드를 배열 인덱스로 사용하면 위험하다.

아래와 같이 ordinal 메서드를 배열 인덱스로 사용하면 위험하다.

// 배열은 제네릭과 호환되지 않으니 비검사 형변환도 필요
Set<Plant>[] plantByLifeCycle = 
    (Set<Plant>[]) new Set[Plant.LifeCycle.values().length];

for (int i = 0; i < plantsByLifeCycle.length; i++) {
    plantsByLifeCycle[i] = new HashSet<>();
}

for (plant p : garden) {
    plantsByLifeCycle[p.lifeCycle.ordinal()].add(p);
}

// 결과 출력
for (int i = 0; i < plantsByLifeCycle.length; i++) {
    System.out.printf("%s: %s%n", Plant.LifeCycle.values()[i], plantsByLifeCycle[i]);
}

배열은 각 인덱스의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위 코드에서의 %s :%s\n과 같은 출력 결과를 포맷팅해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정확한 정수값을 사용한다는 것을 개발자가 보증해야 한다. 잘못된 값이 사용되어 예외가 발생하거나 또는 오동작을 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ordinal 메서드는 상수 선언 순서에 따라 반환 값이 바뀌기 때문이다.

EnumMap을 사용하면 안전하다.

위와 같은 문제는 EnumMap을 사용하면 해결된다. 열거 타입을 키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아주 빠른 Map 구현체이다.

// EnumMap을 사용하여 데이터와 열거 타입을 매핑한다.
Map<Plant.LifeCycle, Set<Plant>> plantsByLifeCycle =
    new EnumMap<>(Plant.LifeCycle.class);

for (Plant.LifeCycle lc : Plant.LifeCycle.values()) {
    plantsByLifeCycle.put(lc, new HashSet<>());
}

for (Plant p : garden) {
    plantsByLifeCycle.get(p.lifeCycle).add(p);
}
System.out.println(plantsByLifeCycle);

안전하지 않은 형변환을 사용하지 않는다. 내부 구현 방식을 숨겨 Map의 타입 안전성과 배열의 성능을 모두 얻은 것이다. 맵의 키인 열거 타입이 그 자체만으로 출력용 문자열을 제공하기 때문에 직접 포맷팅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인덱스 계산에 대한 오류 가능성도 없다. 여기서 EnumMap의 생성자의 Class 객체는 한정적 타입 토큰으로, 런타임 제네릭 타입 정보를 제공한다.

스트림(Stream)을 이용한 방법

스트림을 사용해 맵을 관리하면 코드를 더 줄일 수 있다.

// Map을 이용해 데이터와 열거 타입 매핑
Arrays.stream(garden)
    .collect(groupingBy(p -> p.lifeCycle))

// EnumMap을 이용해 데이터와 열거 타입 매핑
Arrays.stream(garden)
    .collect(groupingBy(
        p -> p.lifeCycle, 
        () -> new EnumMap<>(LifeCycle.class),
        toSet())
    );
배열의 인덱스를 얻을 때는 EnumMap을 사용하자.



아이템 38. 확장할 수 있는 열거 타입이 필요하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

Emulate extensible enums with interfaces

열거 타입을 확장하는 것은 대부분 좋지 않다. 하지만 연산 코드(operation code)를 구현할 때는 어울릴 수 있다. 이때는 열거 타입 enum이 인터페이스를 구현(implements)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면 된다.

public interface Operation {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public enum BasicOperation implements Operation {
    PLU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MINU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TIME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DIVIDE("/")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private final String symbol;
    BasicOperation(String symbol) { this.symbol = symbol;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symbol; }
}

우선 BasicOperation은 열거 타입이기 때문에 추가 확장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인터페이스 Operation은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연산을 추가할 때는 아래와 같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새로운 열거 타입을 작성하면 된다.

public enum ExtendedOperation implements Operation {
    EXP("^")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Math.pow(x, y);
        }
    },
    REMAINDER("%")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private final String symbol;
    // 생성자, toString 생략
}

타입 수준에서도 기본 열거 타입 대신에 확장한 열거 타입을 넘겨서 열거 타입의 모든 원소를 순회하게 할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x = Double.parseDouble(args[0]);
    double y = Double.parseDouble(args[1]);
    test(ExtendedOperation.class, x, y);
}

private static <T extends Enum<T> & Operation> void test(Class<T> opEnumType, double x, double y) {
    for (Operation op : opEnumType.getEnumConstants()) {
        System.out.printf("%f %s %f = %f%n", x, op, y, op.apply(x, y));
    }
}

여기서 <T extends Enum<T> & Operation>는 Class 객체가 열거 타입인 동시에 Operation의 하위 타입임을 말한다. 즉, Enum 타입이면서 Operation을 구현한 클래스이다. 위와 다르게 한정적 와일드카드 타입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열거 타입의 리스트를 전달하여 한정적 와일드 카드 타입으로 지정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x = Double.parseDouble(args[0]);
    double y = Double.parseDouble(args[1]);
    test(Arrays.asList(ExtendedOperation.values()), x, y);
}

private static void test(Collection<? extends Operation> opSet, double x, double y) {
    for (Operation op : opSet) {
        System.out.printf("%f %s %f = %f%n", x, op, y, op.apply(x, y));
    }
}

한편 열거 타입끼리 구현을 상속할 수 없는 문제는 있다. 열거 타입 간의 공유하는 기능이 늘어나 코드 중복량이 많아진다면 Helper 클래스 또는 메서드로 분리하면 좋다.

열거 타입은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해 확장 효과를 낼 수 있다.



아이템 39. 명명 패턴보다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라

Prefer annotations to naming patterns

JUnit 3 버전까지는 테스트 메서드의 이름이 test로 시작해야 하는 것처럼 명명 패턴을 사용했었다. 하지만 test라는 단어에 오타가 발생하게 되면 테스트 코드는 실행조차 되지 않으며, 특정 예외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 검사하고 싶을 때도 매개변수를 전달할 방법이 없어서 불편하다. 해결책으로는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JUnit도 4버전부터는 애너테이션을 도입하였다.

애너테이션이 할 수 있는 일들을 명명 패턴으로 처리할 이유는 없다.



아이템 40. @Override 애너테이션을 일관되게 사용하라

Consistently use the Override annotation

@Override는 상위 타입의 메서드를 재정의했다는 뜻이며 메서드 선언에만 달 수 있다. 이 애너테이션을 일관되게 사용하면 발생할 수 있는 실수나 버그들을 예방해줄 수 있다.

public class Bigram {
    private final char first;
    private final char second;

    public boolean equals(Bigram b) {
        return b.first == first && b.second == second;
    }

    public int hashCode() {
        return 31 * first * second;
    }

    // 기타 코드 생략
}

위의 코드에서 equals 메서드를 재정의 한 것으로 보인다. hashCode도 같이 재정의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equals 메서드를 재정의(overriding)한 것이 아니라 다중정의(overloading) 해버렸다. Object의 equals를 재정의 할 때는 매개변수 타입을 Object로 해야 하는데 개발자가 실수한 것이다. 만일 @Override 애너테이션이 있었다면 컴파일 오류 메시지를 통해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하려는 모든 메서드에 @Override 애너테이션을 달자. 예외는 단 한 곳이다. 추상 메서드를 재정의할 때는 반드시 애너테이션을 달지 않아도 된다. 구현 클래스가 추상 메서드를 모두 구현하지 않았다면 컴파일러가 알려주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도 마찬가지다. 디폴트 메서드가 생긴 이후부터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구현한 메서드에도 애너테이션을 다는 습관을 들이자.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IDE 에서는 메서드를 재정의할 때 기본적으로 @Override 애너테이션을 붙여준다.

@Override를 붙이면 메서드를 재정의할 때의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아이템 41. 정의하려는 것이 타입이라면 마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

Use marker interfaces to define types

마커 인터페이스(marker interface)란, 아무 메서드도 갖고 있지 않고 단지 자신을 구현하는 클래스가 특정 속성을 갖는 것을 표현해주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Serializable 인터페이스가 있는데, 이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직렬화(Serialization)할 수 있다고 알려준다.

마커 인터페이스의 장점

첫 번째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구분하는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타입이기 때문에 오류를 컴파일 타임에 잡을 수 있다. 반대로 마커 애너테이션을 사용했다면 런타임 시점에 오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적용 대상을 더 정밀하게 지정할 수 있다. 마커 애너테이션의 경우 적용 대상(@Target)을 elementType.TYPE 으로 선언했다면 클래스, 인터페이스, enum 그리고 애너테이션 모두에 설정할 수 있다. 즉, 더 세밀하게 제한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마커 인터페이스의 경우는 마킹하고 싶은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에서만 마커 인터페이스를 구현(인터페이스라면 확장)하기만 하면 된다.

마커 애너테이션의 장점

반대로 마커 애너테이션에도 장점이 있다. 거대한 애너테이션 시스템의 지원을 받는다. 만일 애너테이션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면, 일관성을 위해서라도 마커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리하면

마커 인터페이스와 마커 애너테이션은 각자의 적재적소가 있다. 새로 추가하는 메서드 없이 단지 타입 정의가 목적인 경우 마커 인터페이스가 좋다. 마킹이 된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는 메서드를 작성할 일이 있다면 마커 인터페이스 사용을 고려해보자.

마커 인터페이스와 마커 애너테이션은 각자의 쓰임이 있다.

댓글을 남기시려면 Github 로그인을 해주세요 :D


Hi, there!

Thanks for visiting my blog.
Please let me know if there are any mistakes in my post.